최근에 유현준 교수가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서 을 리뷰한 영상이 올라왔다. 교수가 일본 애니메이션을 리뷰한다니, 너무 신기한 조합이라 클릭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간축가 답게 이 작품을 공간적 관점에서 분석해 주었는데 상당히 좋았다. 그리고 그는 이 작품을 "명작"이라 칭했다. 결과적으로는 명작이라는 그의 평가에 나도 동의했다. 사실 이전까지 나는 이 작품이 명작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내 기준에 명작은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들이다. 그 외의 명작이라고 인정할 만한 애니메이션은 내 마음속에 별로 없다. 그런데 명작이 뭐란 말인가? 누가 인정해줘야 명작이 되는걸까? 그런건 없다. 그저 각자 개개인에게 명작이냐 아니냐에 대한 기준이 있을 뿐이다. 그나마 공통적으로 명작이라 불리우는 조건이 있다면, 그 작품..
도서관이나 서점에서 책 구경을 하다보면 이전에 읽은 책을 마주칠 때가 있다. 보통 그런 경우 '읽은 책이니까'라고 생각하며 다른 곳으로 눈을 돌리기 마련이다. 하지만 '이 책이 무슨 내용이었더라?' 하고 생각해보면 기억이 나지 않는 경우가 있다. 혹은 '재미있게 읽었었는데'라는 정도의 기억은 나지만 상세한 내용은 기억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내용이 기억도 안나고 재미있었던 기억도 없는 책이라면 아마 대부분은 다시 읽을 가치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재미있던 기억은 확실히 나는데 내용이 잘 기억이 안난다면, '다시 읽어볼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최근에 본가의 집 책꽂이에서 코맥 메카시의 소설 를 발견한 경우는 후자였다. 포스트 아포칼립스 장르를 좋아하는 나는 이 소설을 상당히 재미있게 읽었다. 핵전..
아침 저녁에 각각 1시간 정도씩 공부를 하거나 개인 성장을 위해 시간을 쓰고 있다. 가급적 일은 업무시간에 집중적으로 하고 이 시간에는 일을 하지 않기로 했다. 이제는 꽤 적응이 되었는지 아침 5시에 일어나는 것도 무리 없이 꾸준히 해나가고 있다. 다만 전날 늦게 잔 경우에는 6시 정도에는 졸음이 몰려와 잠깐 눈을 붙이기도 한다. 안정적인 시간이 확보된 것이 너무나 만족스럽고 앞으로 계속 이 시간을 통해 성장할 수 있다고 생각하니 참 재미있다. 그런데 문제는 효율을 추구하는 나의 성향이 좀 더 강해졌다는 것이다. 이 시간은 꼭 확보해야한다는 강박 같은 것도 생겼다. 아침에는 대체적으로 시간 확보가 가능하지만 저녁 시간에 아들을 재우는데 늦게 자거나 어떤 일이 생겨서 계획에 착오가 생기면 화가 나는 것을 ..
톱니바퀴 VS 린치핀 - 톱니바퀴는 얼마든지 대체가능한 부품을 상징한다. - 린치핀은 대체불가능하고 없어서는 안되는 사람을 상징한다. 캠브리지 사전의 정의 조직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원 혹은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부품)로, 다른 구성원 혹은 구성요소를 이어주거나 의도된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해주는 사람 혹은 물건 최근 읽은 책 중 최고의 책이었다. 생각의 틀을 깨는 인사이트들로 가득한 책이다.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삶의 방식에 대해 의문을 품고 다른 관점으로 세상을 보게 만들어주었다. 처음에는 책에 나오는 표현들이 너무 진취적이어서 ‘좀 과하지 않나’라고 생각했지만 중반을 넘어가면서부터는 책의 모든 내용을 완전히 흡수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 읽는데 생각보다 오래 걸렸다.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옮겨 ..
오늘부터는 새벽 알람 시간을 5시로 맞췄다. 10분 당긴 것이다. Alamy의 도움을 많이 받고 있지만 덕분에 수월하게 일어나고 있다. 새벽의 조용한 시간에 성경을 읽고 책을 읽거나 공부하는 시간이 소중하고 행복하다. 세스 고딘의 을 읽고 있다. 읽는 내내 내 사고방식의 틀을 새롭게 하는 데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린치핀들은 자신의 생산수단을 가지고 있고, 남과는 다른 차이를 만들어내며, 사람들을 이끌고 관계를 맺어준다." 어떤 조직의 부품으로서가 아니라, 꼭 필요한 존재로서 기능하는 사람. 회사의 직원만이 아니라 스티브 잡스, 제프 베이조스처럼 한 기업을 성공적으로 이끌고 우수한 제품을 만든 기업가들도 여기에 해당된다. 예술분야에서도 마찬가지다. 이 책을 읽는 순간부터 린치핀이 되고싶다는 생각을 멈..
"행복하고 성공적인 사람들은 계획하는 시간을 줄이고 행동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 그들은 세상에 나가 새로운 것을 시도하고 그로부터 야기된 실수를 통해 예상치 못한 경험과 기회로 이익을 얻었다." from 뭔가 빨리 시도하는게 항상 어렵다. 충분히 준비된 상태에서 시작해야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막상 시도 했을 때의 즐거움과 성취감도 경험해서 알고 있다. 빠르게 자주 실패하는 사람들, 즉 행동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쓰는 사람들이 성공적이고 행복하다고 한다. 인생은 짧다. 남들의 시선에 너무 많이 의식할 필요 없다. 실패를 두려워할 이유도 없다.
* 아래 대표 영어 명칭은 IntelliJ IDEA, AndroidStudio 기준이다. 참고: 영어에서 괄호의 명칭은 모두 복수형이다. 각 괄호 종류 하단에는 영어의 기타 명칭들들을 기재했다. 1. ( ) 소괄호, Parentheses - rounded brackets - round brackets - parentheses 2. { } 중괄호, Braces - curly braces - curly brackets - swirly brackets 3. [ ] 대괄호, Square Brackets - brackets - closed brackets 4. 화살괄호, Angle Brackets * 또는 홀화살괄호라고도 함. cf) 겹화살괄호: 《 》 참고한 문서 - https://ko.wikipedia..
이번주도 아침 5시 20분에 계속 일어나고 있다. 아직까지는 순조롭다. 지속적인 성공의 핵심은 내 생각에 두 가지가 아닐까 싶다. 아래 두 가지가 지속되어야 한다. 1. 동기부여 2. 환경설정 [동기부여] 저녁에는 아무래도 뭔가에 집중하기가 쉽지 않다. 피곤함, 놀고싶은 보상심리, 아들이 늦게 잠 등의 여러 이유로 어영부영 시간을 보내다가 잘 시간이 다되서야 아무것도 하지 못했다는 자책을 하기가 쉽다. 그래서 조용한 아침에 일어나서 나를 위한 시간을 보내야겠다는 동기부여가 생겼다. 이 동기부여가 충분히 강해지기까지 사실 오랫동안 시간을 확보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그리고 확보된 시간을 통해 어떻게 성장할 수 있을까에 대해 고민했다. [환경설정] 동기부여는 행동에 옮기는데 큰 도움이 되지만, 그 뒤에는 ..
이전글: 배워서 남주는 정규표현식(1) 이 글에서는 바로 정규표현식의 기본 문법격인 메타문자(meta character)에 대해서만 알아보기로 한다. 지난 글에서 일부 메타 문자를 예제로 다루기는 했지만 모두 다룰 수 없어서 이곳에 따로 정리했다. 정규식 연습 및 결과 확인은 regexr.com을 사용하고 있다. 각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소제목 중 상당수는 한글로 어떻게 번역되는지를 정확히 알 수 없어서 영어로 표기하였다. 1. Character Classes [기호 클래스] 기호 클래스는 특정 set에서 문자를 찾는다. 정규식(예시) 명칭 매칭 조건 비고 [ABC] character set [ ] 안의 문자들 예) [a-z], [0-9], [a-c], [+_] [^ABC] negated set [ ]안에..
1. 정규표현식이란? 정규표현식(이하 정규식)은 프로그래밍에서 특정한 규칙(패턴)을 가진 문자열의 집합을 표현하는 데 사용하는 형식 언어이다. 정규표현식은 많은 텍스트 편집기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문자열의 검색과 치환을 위해 지원하고 있으며, 특히 펄과 Tcl은 자체에 강력한 정규 표현식을 구현하고 있다. - 위키백과 영어로는 Regular Expression이라고 하며, 줄여서 regex 혹은 regexp라고도 한다. 정규식이라는 게 특정한 규칙을 가진 것이라고 하는데, 정규식을 보면 오히려 규칙이 없이 아무렇게나 입력된 문자처럼 보인다. 그래서 왠지 어렵게 느껴지고 다가가고 싶지 않게 느껴지는 것 같다. 2. 정규표현식, 꼭 알아야할까? 개발자라면 정규식을 꼭 알아야한다는 말을 여기 저기서 듣거나 보..
- Total
- Today
- Yesterday
- 알고리즘
- 이사
- 개발자
- 문과생개발자
- 멘토에게묻다
- 스타트업
- 이직
- 멘토에게 묻다
- 프로그래머의길
- 세탁기설치
- 알고리즘풀이
- 개발자취업
- 미야자키 하야오
- software craftmanship
- Regex
- 정규표현식
- 세탁기
- 알고리즘 풀이
- 비전공개발자
- 건조기설치
- 프로그래머의길멘토에게묻다
- 정규식
- 건조기
- 소프트웨어장인
- 프로그래머스
- 육아
- 안드로이드
- 디버깅
- 소프트웨어 장인
- 프로그래머의 길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